웹기획이란
Web Planning!
수단 목적
목적을 달성(Planning)하기 위한 수단(Web)을 만드는 거
즉, 비지니스 기획을 하는데 있어, 웹이란 도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은
Service direction -> Service Architecture -> Process -> Communication -> Interface -> Product
방향 설정 -> 메뉴, 구성 -> 예상흐름 -> 상호 협의 -> 스토리보드 -> 오픈
Business Planing이 먼저 우선시 되어야 한다.
- 비지니스모델 발굴과 전략 가치를 수립한후
System Integration -> Service -> Marketing -> 이를 바탕으로 다시 SI
웹사이트 구축 컨텐츠 제안서
CRM/CMS구축 포털/커뮤니티 신규사업제안
리뉴얼 쇼핑몰, 이러닝 제휴, 로그분석
이 과정에 필요한 웹기획자의 스킬은
UI
UX
MOS
언어능력
심리학
커뮤니케이션
카피라이팅
실무지식
벤치마킹
기획의 시작은 : 사람들은 왜 우리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가? 가 먼저 되어야 합니다.
다음으로 기획전개 : 어떻게 하면 더 많은 트래픽 유도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을까? 로 전행되어
기획의 세분화 (UI, UX, IA)가 되어야 합니다.
웹기획자의 기본 능력은 생각하고 받아 들일 수 있는 열린 사고를 가진 머리와 장르를 가리지 않는 다양한 분야의 배경지식 그리고 이러한 지식과 논리력을 바탕으로 한 작문능력이 기본적으로 필요합니다.
자.. 최근 싸이의 해외진출과 그 성공이 국내에 미칠 파급효과에 대해 서술하시오?
라는 글을 쓰려면
배경지식 (정치, 경제, 문화, 종교, 국제 역학관계...등) 있어야 하고
유저환경 (나이, 성별, 학력, 지역)에 따라 알맞게 써야 하며
작성능력 (기승전결, 문장력, 논리)에 맞추어야 한다.
이는 기획과정과 동일한 형태의 구성을 가집니다.
기획도
의문을 가지고 가설을 수립하고 데이터를 추출한 다음 다각도의 접근을 하는 것입니다.
이미 정해진 답에 대한 근거를 찾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기획적인 논리력의 핵심은 바로 최적의 답을 추론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기획자는
Observation, Strategic Thinking (Planing mindset), communication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면서
추가적인 기획에 필요한 능력을 갖추어 나가야 합니다.
오늘 여기까지> 이후 과정 필요한 프로그램 등 이야기하려합니다.
'Life is Story > Docu-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차트에 평균선 넣기 (0) | 2020.07.01 |
---|---|
갈팡질팡 가계부 앱비교 (0) | 2017.11.20 |
ssl 어떻게 신청할까요? 무료 설치, 컨설팅 받아보세요! (0) | 2012.08.20 |
MSword에서 Tistory 글쓰기 (0) | 2011.12.08 |
국내 OSS의 희망이 보인다. KimsQ rb를 이용한 홈페이지 제작기 (0) | 2011.07.21 |